본문 바로가기
취업

취업하는 과정, 기업에서 인재를 채용하는 절자

by 자취남자 2023. 2. 26.
728x90

취업과정-채용절차
취업의 과정과 채용절차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에 이르는 교육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우리들은 직업을 갖게 됩니다. 직업을 갖는다는 걸 다른 말로 취업 또는 취직이라고 하는데요. 오늘은 취직, 취업을 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취업 절차를 미리 알고 준비해야 그만큼 취업 준비에 쏟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꼭 숙지해 두셨으면 좋겠습니다!


1. 입사지원(서류)

가장 먼저, 취업을 하기 위해서는 본인이 들어가고자 하는 기업(회사)에 입사 지원을 해야합니다. 기업에서 필요한 인재를 채용하기 위해 채용 공고를 내게 되면 해당 자격에 부합하는 여러 지원자들이 입사지원서를 작성하게 됩니다. 입사지원서에 기재되는 항목들로는 학력, 성적, 가족관계, 자격증 및 면허증, 자개소개서, 수상경력, 직장경력, 봉사활동 등이 있으며 이러한 항목들을 우리는 스펙(Spec)이라고 부릅니다. 기업에서는 이러한 지원자들의 스펙을 평가하여 서류 합/불 여부를 가르게 됩니다.

 

과거와는 달리 워낙에 지원자들간의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이런 스펙을 갖추기 위해서 졸업 후에도 수개월에서 수년간 자격증을 취득하거나 영어 성적을 올리는 등의 노력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스펙이 정량적인 평가 요소가 되기 때문에 서류 합격률을 높이기 위해선 반드시 남들보다 뛰어난 스펙을 갖추는 게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2023.02.26 - [취업준비] - 취준생들이 알아두면 좋은 정보, 취업 준비 전 필수 구비 서류 정리

 

취준생들이 알아두면 좋은 정보, 취업 준비 전 필수 구비 서류 정리!

안녕하세요 자취남자입니다. 저는 2020년 02월에 4년제 대학에 졸업 후 약 5개월간의 취업준비 기간을 가진 후 2020년 7월에 목표하던 기업의 정규직으로 입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남들보다 취업 준

jachwibang.tistory.com


2. 인적성 검사(역량검사)

서류에서 1차적으로 통과를 하셨다면, 인적성 검사를 실시하게 됩니다. 인적성 검사랑 인성+적성 검사의 합성어로 지원자들의 인성과 적성을 평가할 수 있는 문제를 풀어내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규모가 있는 회사들이 오프라인으로 시험을 봤지만, 코로나 이후로는 온라인으로 평가를 하는 회사들이 많아졌습니다.

인적성 검사의 형태 또한 회사별로 상이한데, Ai 역량검사라고 하는 온라인 검사를 실시하는 기업도 있고 수학문제나 논술 문제등을 제시하는 회사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점에 가면 아예 각 기업별로 인적성검사 기출문제집들을 모아놓은 책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인적성 시험으로는 삼성그룹의 GSAT, SK 그룹의 SKCT 등이 있습니다.


3. 1차 면접

인적성 시험까지 통과했다면 1차 면접(역량면접)을 거치게 됩니다. 1차 면접에서는 보통 지원자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들이 주어지게 됩니다. 역량이라고 한다면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지원 직무에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 역량을 어떻게 갖추었는지, 본인만이 그 역량을 발휘하는 방법 등을 잘 정리하여야 합니다. 

 

보통 1차 면접에서는 채용 확정 후 함께 일을 하게 될 팀장 또는 부서장, 사수 등이 면접관으로 참석하게 되고 지원 직무로 근무하게 될 사업장에서 보통 면접이 이루어 집니다.


4. 2차 면접

1차 면접에 통과한다면 최종관문인 2차 면접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말그대로 최종면접이며 보통 인성관련된 질문들을 받게 됩니다. 지원자가 회사와 얼마나 부합하는 사람인지, 어떤 가치관 등을 가지고 있는지 평가하는 자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기업의 임원급들이 참석하게 되고 역량면접이 실무적인 질문 위주였다면, 인성면접은 굉장히 추상적이고 정답이 정해져 있지 않은 주관적인 질문들이 주를 이룹니다.


5. 채용 신체검사

보통은 2차 면접 결과를 통보한 뒤 입사일 전에 채용 검진을 하는게 일반적이지만, 요즘은 2차 면접 결과가 체 발표되기도 전부터 채용 신체검사서를 요구하는 회사들도 있습니다. 이는 당사에 입사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데 신체적인 결격사항이 있는지 여부를 판가름하기 위한 과정인데요. 예를 들어 심각한 질병이나 신체적 장애가 있어서 객관적으로 지원 직무의 업무를 수행할 수 없다면 채용 시 결격사항으로 판단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6. 입사

마지막으로 채용 신체검사 결과 이상이 없다고 판단될 지에는 최종적으로 회사에 입사를 하게 됩니다. 보통 입사일이 정해지면 입사일에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여 근로계약이 체결됩니다. 회사의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1-2주간의 교육과정을 거친 후 실무(실제 근무지)에 배치되게 됩니다. 

728x90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댓글